728x90
반응형
📌 문제 설명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혹은 1)가 입력된다.
# 출력
첫 번째 줄에는 총 단지수를 출력하시오. 그리고 각 단지내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시오.

📌 풀이 코드
- 문제 설명을 읽으면서 네트워크 개수 찾는 문제로 느꼈다.
- 그래프 내에 모든 노드를 탐색해야 하니까, DFS로 풀이해야 한다.
- dxdy 이용
- 미로찾기랑 동일하게, 상하좌우로 갈 수 있는 곳이 더 있는지 찾아야 한다.
- 상하좌우 좌표를 계산해보고, 범위 내에 있다면 => 방문 이전 AND 그래프에서 1이면 그 노드에 대해 또 dfs() !!
- ✅원래 그래프에서 이중 for문을 돌린다.
- graph에서 1인 모든 노드에 대해 visited를 검사한다. (이미 하나의 Network로 묶인 노드는 True로 저장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아직 방문 못한 분리된 네트워크를 찾을 수 있게 된다.)
# 네트워크 개수 찾는 문제 같은데
N = int(input()) # 지도의 크기 정사각형
graph = []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
# DFS로 찾아야 할 것 같다.
visited = [[0]*N for _ in range(N)]
dx = [1, -1, 0, 0]
dy = [0, 0, -1, 1]
tmplist = []
def dfs(x, y):
global count
visited[x][y] = 1
count += 1
#print(f"VISIT ({x}, {y})")
for i in range(4):
nx, ny = x+dx[i], y+dy[i]
if 0<=nx<N and 0<=ny<N:
if visited[nx][ny] == 0 and graph[nx][ny] == 1:
dfs(nx, ny)
answer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visited[i][j] == 0 and graph[i][j] == 1:
# 방문은 안했는데, 그래프에는 존재하면
answer += 1
count = 0
dfs(i, j)
tmplist.append(count)
tmplist.sort()
print(answer)
for i in tmplist:
print(i)
728x90
반응형
'코딩테스트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Python] DFS/BFS-1697번. 숨바꼭질 (3) | 2024.10.12 |
---|---|
[백준/Python] DFS/BFS-2644번. 촌수 문제 (2) | 2024.10.11 |
[백준/Python] DFS/BFS-2606번. 바이러스 (1) | 2024.10.09 |
[백준/Python] DFS/BFS-2178번. 미로탐색 (1) | 2024.10.09 |
[백준/Python] 1260. DFS와 BFS (1) | 2024.10.09 |